자료
다문화사회와 국제이해교육
- 03-09


국내거주 외국인 100만 시대를 맞아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이미 접어들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일고 있습니다. 특히 유네스코는 급속한 세계화와 이에 수반하는 여러 현상들을 인식하고, '21세기 세계교육위원회' 보고서에서 '함께 살기 위한 학습'을 강조하였고, 사회의 다양화, 다문화 사회의 등장과 함께 다문화교육을 국제이해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 왔습니다. 다문화교육이 소수 이주민 집단만을 배려한 특별교육을 넘어서 한국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여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모든 다양성을 다루는 국제이해교육의 틀 속에서 더욱 더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 책은 다문화 사회의 철학, 이론, 교육 방법론 등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면서 유네스코 문화 다양성 입장에서의 '다문화 사회 담론'을 소개합니다. 또한 문화 다양성과 관련한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춰, 다문화 가치 포용 및 문화다양성 증진과 이해를 돕고, 다문화 사회와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기 위한 학술적 교재 개설서로서 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3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서는 다문화 사회이 이론적 논의를 관용, 민족주의와 정체성, 포스트콜러니즘 담론, 문화 다양성 관점에서 다루었고, 문화 다원성 측면에서 한국사회 내에서의 다문화주의의 이해와 논의를 소개했습니다. 2부에서는 국제이해교육에서의 다문화 사회 논의와 문화 이해, 이주여성, 국제교육 방법 등을 다루었습니다. 부록으로 유네스코의 문화간 교육(intercultural education) 지침을 번역, 게재하여 다문화사회에 대한 유네스코의 가이드라인을 보급하고자 하였습니다.
이 책이 현재 국제이해교육 내 다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의 장을 더욱더 넓히고, 교육의 방향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1부] 다문화 사회 이론과 실제
1장 다양성과 관용
김선욱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
2장 다문화 사회의 한국인 정체성과 한국사 다시 쓰기
김기봉 경기대학교 사학과 교수
3장 이주민의 정체성과 포스트콜로니얼 대안
박흥순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4장 세계화, 이주, 문화 다양성
최현덕 이화여자대학교 탈경계 인문학 연구단 HK 연구교수
[2부] 다문화 교육과 국제이해교육
5장 다문화 사회의 도래와 국제이해교육의 역할
김현덕 거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6장 문화다양성과 문화이해교육
유철인 제주대학교 철학과 교수
7장 선망과 공포: 한국사회 이주여성의 시선
오현선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 교수
부록
유네스코의 문화간 교육 지침 (UNESCO Guidelines on Intercultural Education)
서종남 (번역) 경기도 다문화교육센터 부소장
* 이 책은 시중 출판사나 인터넷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구입문의: 동녘출판사 031-955-3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