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보고서

Home 자료 보고서

평생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이행현황 연구
  • 12-18
평생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이행현황.jpg
유네스코 아태교육원은 “국내 평생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이행현황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동 교육원은 국내 세계시민교육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이행현황 분석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여, 2018년에는 유ㆍ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담긴 세계시민교육의 국내 이행현황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보고서는 이 작업에 대한 후속 연구로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영역에서의 시민교육 실천양상 및 그 안에서 나타나는 세계시민교육의 형성, 현황 및 이행과정을 검토하고 잠재적 활성화 가능성에 대해 탐색한다. 


연 구 기 관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연구책임자 한숭희(서울대학교)
공동연구원 고영상(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재준(경상대학교)
           이은정(충남대학교)
연구보조원 임형균(국가평생교육진흥원)
           김민수(서울대학교)
           김은희(서울대학교)
           장성연(서울대학교)
           김다슬(서울대학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개요
2. 연구 문제 
3. 연구의 방법 
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제2장 세계시민교육 선행연구: 개념과 구도
1. 패러다임으로서의 세계시민교육 
2. 글로벌 시민성의 전지구적 정치경제학 
3. 지속가능성과 세계시민교육 
4.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교육양식 

제3장 평생교육에 있어서의 시민교육의 위치
1. 평생학습과 시민사회의 배경 
2. 국가와 지자체 수준의 시민교육정책 
3. 지난 10년간 평생교육활동 안에서의 시민교육 
4. 지역의 공공평생학습관: 세계시민교육의 잠재적 핵심추진체 

제4장 세계시민교육 이행준비도: 설문분석
1. 개요와 방법론 
2. 현재 세계시민교육 시행 기관: “전체의 8%” 
3. 세계시민교육 관심주제 영역비중: “주제에 따라 편중된 관심” 
4. 세계시민교육의 학습자 핵심역량: “시민교육의 목표” 
5. 교육양식에 대한 공감대: “학습자 주도에 공감, 변혁에는 소극적” 
6. 교육의 공급, 수요, 그리고 프로그램 기획·평가 방식 
7. 설문조사결과 종합정리 및 이행준비 지표 검토 

제5장 세계시민교육 이행을 위한 가능성과 한계: 평생학습관 기관면담
1. 개요와 방법론 
2. 평생학습관 시민교육의 토대와 제도적 기반 
3. 활성화되지 않는 한계 
4. 자기변형적 접근법: 채도 낮추기, 혼합하기 
5. 세계시민교육, 일단 해보기 
6. 풀어야 할 숙제들 
7. 기관면담결과 종합정리 

제6장 사례연구: 세 도시 이야기
1. 개요와 방법론 
2. 수원시의 세계시민교육 
3. 은평구의 세계시민교육 
4. 수성구의 세계시민교육 

제7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1: 세계시민교육의 개념화 방식 
3. 제언2: 세계시민교육 진흥의 주체 형성 
4. 제언3: 연대와 협력의 구조 
5. 제언4: 세계시민교육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공유 
6. 제언5: 교사 전문성 강화 
7. 제언6: 지표와 모니터링 체계 구축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