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보고서

Home 자료 보고서

2021 세계시민교육 국내 모니터링 체제 구축 연구 보고서
  • 03-16
2021_세계시민교육_국내_모니터링_체제_구축_연구_표지_-_Youjung_Kim.PNG

기획·연구기관: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연구자: 박환보 (충남대학교. 연구책임자), 조대훈 (성신여자대학교), 박경희 (충남대학교), 박성호 (한국교육개발원), 엄정민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유네스코 아태교육원은 세계시민교육의 국내 모니터링을 체계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8년의 기초연구를 시작으로 매년 꾸준히 글로벌 지표(SDG 4.7.1)에 부합하면서도 국내 맥락과 실효성이 반영된 국내용 모니터링 도구를 마련하고, 세계시민교육의 주류화 정도를 시범적으로 조사해왔다. 2021년도 연구는 2020년도 연구를 통해 확립된 지표체계를 기반으로 꾸준히 실시하는 시・도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정책분야 분석과 함께 구체적인 정책 이행 사례를 보다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세계시민교육을 통한 성취라는 측면에서 국내의 다양한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세계시민성 수준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세계시민교육 이행 모니터링 지표의 정교화 및 모니터링 체제 구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21 세계시민교육 국내 모니터링 체제 구축 연구> 보고서의 목차는 아래와 같다.

발간사_연구요약
Preface and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제2장 시・도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지표 이행 현황
1. 분석 개요
2. 세계시민교육 지표 이행 현황: 조직
3. 세계시민교육 지표 이행 현황: 정책 사업

4. 세계시민교육 지표 이행 현황: 예산

5. 소결과 시사점

제3장 시·도교육청 및 단위학교 세계시민교육 이행 사례 및 특징 분석
1. 사례 분석의 배경 및 목적
2.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
3. 시·도교육청 세계시민교육 정책 사업 분석
4. 시·도교육청 단위학교 세계시민교육 운영 사례 분석
5. 학교 현장의 세계시민교육 실행상의 특징과 시사점

6. 소결과 시사점

제4장 국내 데이터를 통해 본 세계시민교육의 성과
1. 세계시민교육 성과 측정을 위한 가용 데이터
2. 분석 개요
3. 주제영역별 세계시민교육의 성과

4. 소결과 시사점

제5장 결론
1. 지표 이행 및 모니터링 체제 구축 방안
2. 세계시민교육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정책제언

부록

참고문헌